|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진보시장
끝자리가 3자나 8자인 날에 장이 선다. 청송의 명물 청송 꿀사과...
경북 청송군
신흥시장
신흥시장은 매월 3, 8, 13, 18, 23, 28일에 장이 열...
경북 문경시
생초시장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에 위치한 시장. 매달 3일, 8일마다 장이 ...
경남 산청군
복흥시장
1923년에 생겨나 90년이 넘게 이어오고 있는 복흥 시장은 순창...
전북 순창군
남원인월시장
인월시장이 위치한 인월면은 사통오달의 교통중심지로 예로부터 전라도...
전북 남원시
좌일5일시장
흥촌리에 있는 작은 5일장. 재래시장이 쇠퇴하면서 좌일5일시장도 ...
전남 해남군
천관산관광시장
1961년 개설된 상가주택건물형의 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리 3...
전남 장흥군
신북시장
신북장은 공식적으로는 1964년에 개설된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2...
전남 영암군
주암시장
주암시장은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에 열리며 매월 3일과 8일에 장이...
전남 순천시
문막시장
문막시장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100여전부터 우시장과...
강원 원주시
서울 중랑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조선시대에 지금의 마장동 우시장에 가기 위해 먼 길을 걸어온 소에게 여물을 먹이고 쉬게하던 곳이라 이름 지어진 우림시장은 1970년대 지역 상인과 인근 구리와 양평 등의 경기도 상인들이 집결, 상권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림시장은 2001년 눈비가림시설인 아케이드를 설치하고 고객들의 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점포별 천막과 파라솔, 노점에 쌓인 상품을 정비해 쾌적한 쇼핑환경을 만들었다. 2002년부터 배달서비스 체계 구축 및 인터넷 교육을 통해 지역민을 대상으로 직접 우림시장을 찾지 않더라도 인터넷과 전화로 시장 내 물품을 구매하는 고객의 집까지 물품을 배달해주는 택배 서비스를 실시했다. 택배 서비스는 당일 수시배송을 원칙으로 한다. 2004년부터 현재까지 이벤트 및 홍보, 공통쿠폰 발행, 특가판매지원 등의 경영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만족을 극대화하여 지역민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