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진보시장
끝자리가 3자나 8자인 날에 장이 선다. 청송의 명물 청송 꿀사과...
경북 청송군
신흥시장
신흥시장은 매월 3, 8, 13, 18, 23, 28일에 장이 열...
경북 문경시
생초시장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에 위치한 시장. 매달 3일, 8일마다 장이 ...
경남 산청군
복흥시장
1923년에 생겨나 90년이 넘게 이어오고 있는 복흥 시장은 순창...
전북 순창군
남원인월시장
인월시장이 위치한 인월면은 사통오달의 교통중심지로 예로부터 전라도...
전북 남원시
좌일5일시장
흥촌리에 있는 작은 5일장. 재래시장이 쇠퇴하면서 좌일5일시장도 ...
전남 해남군
천관산관광시장
1961년 개설된 상가주택건물형의 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리 3...
전남 장흥군
신북시장
신북장은 공식적으로는 1964년에 개설된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2...
전남 영암군
주암시장
주암시장은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에 열리며 매월 3일과 8일에 장이...
전남 순천시
문막시장
문막시장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100여전부터 우시장과...
강원 원주시
서울 서대문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1960년 홍제천 주변 둑방에서 자연시장 형태로 시작된 인왕시장은 1972년 인왕시장이라는 상호로 시장이 개설됐다. 초기에는 점포 수가 많지 않았지만 현재는 점포 수만 150개, 좌판은 200개 수준으로 주로 농축산물과 잡화가 주를 이룬다. 72년 개설 당시에는 용산청과시장 중간상 역할을 주로 하였으나 현재는 서부상권의 주요 재래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곳에는 100여 개의 농산물 판매업소가 있는데, 농산물을 직접 조달하여 저렴한 가격에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을 만날 수 있다. 근래에는 전통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커피숍과 꽃집 그리고 어린이놀이 카페, 설치미술 갤러리 등을 열었고, 공중화장실도 만들었다. 공동무료배송센터도 개관하여, 시장 반경 2km 이내 홍제, 홍은, 연희동은 물론 종로구 세검정, 은평구 녹번동까지 무료배달이 가능하다. 매월 두 번째, 네 번째 일요일에는 시중 가격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직거래 장터도 운영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