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묘산시장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에 있는 시장이다. 1939년부터 지금까지 인...
경남 합천군
사거리시장
북이면 사거리에서 5일마다 열리는 재래시장. 사거리5일장, 사거리...
전남 장성군
망운전통시장
2007년 망운면 목동리에 개설된 자그마한 시장이다. 장날은 매월...
전남 무안군
함창시장
1960~89년대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던 함창시장은 끝자리가 1...
경북 상주시
공성시장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소재한 공성시장은 매월 1, 6일 장이 서...
경북 상주시
상하정기시장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상하시장은 1974년 개장되었으며, 규모는 ...
전북 고창군
번암시장
전북 장수군 번암면에 위치해 있는 번암시장은 1928년에 개설한 ...
전북 장수군
대곡시장
진주시 대곡면 광석리에 위치한 대곡시장. 매달 1일, 6일 마다 ...
경남 진주시
호계공설시장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호...
울산 북구
용산시장
용산면 인암리에 서는 장으로 매월 1, 6일 5일 간격으로 장이 ...
전남 장흥군
충북 제천시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제천 중앙시장으로 가는 길은 시장과 어울리지 않는다 해도 좋을 만큼 번화한 거리이다. 세련된 거리를 통과하면 이와 대조적으로 투박하고 정겨운 전통시장 풍경이 펼쳐진다. 둘은 어떻게 보아도 대조적이지만, 역설적으로 이 독특함 덕분에 제천의 명물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중앙시장은 노점의 수가 많고 종류가 다양한 데다 빨간오뎅, 순대 등 명물 먹거리가 풍부하기에 번화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한편 이곳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각종 문화 행사를 진행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추억의 영화관’을 열어 과거의 유명한 영화를 상영해 주고, 영화를 상영하지 않을 땐 문화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