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서정시장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위치한 서정시장은 260개 점포로 이루어져...
경기 평택시
언양공설시장
울산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했으며 시장이 위치한 언양삼남권(언양읍,...
울산 울주군
야로시장
야로면은 가야산 해인사로 통하는 입구이므로 일찍이 문물이 발전하였...
경남 합천군
시종시장
시종시장은 멀리 목포에서도 장을 봐갔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이용자...
전남 영암군
산동5일시장
1956년 개설된 시장으로 매달 2, 7, 12, 17, 22, ...
전남 구례군
정자시장
울산 북구 정자동에 위치한 노점형의 소형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
울산 북구
사창시장
처음 장이 선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일제초까지만 해도 많은...
전남 장성군
세지 5일장
1936년에 생겨나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오고 있는 세지 5일장...
전남 나주시
하동시장
하동군 하동읍에 자리 잡은 하동시장은 174개 점포로 이루어진 중...
경남 하동군
대산시장
1967년 생겨난 대산시장은 역사가 꽤 있는 시장이다. 대산시장은...
전북 고창군
충북 단양군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단양군 내의 5일장 중 가장 작은 영춘장은 과거 무수한 뗏목이 남한강을 덮던 시절에는 마포나루까지 가는 뗏목의 중간 기착지로 제법 번성한 바 있었다. 지금은 뗏목이 없어져 교통의 요지로서의 기능은 상실했지만, 대신 인근 관광지를 찾는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아 과거의 번성을 되살리려 하고 있다. 이곳에서 파는 물품은 고추, 마늘, 잡곡, 송이, 각종 모종과 농기구로 이를 파는 것은 현재 거의 외부 상인이고, 주민의 경우엔 이곳보다 구인사 입구에 난전을 펼치고 산나물 등을 팔고 있다. 그리고 잡곡은 장날이 아니더라도 농협에서 소포장 형태로 판매하고 있어 언제든 구입할 수 있다. * 해당 시장은 상설로도 운영됩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