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신북시장
신북장은 공식적으로는 1964년에 개설된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2...
전남 영암군
진보시장
끝자리가 3자나 8자인 날에 장이 선다. 청송의 명물 청송 꿀사과...
경북 청송군
복흥시장
1923년에 생겨나 90년이 넘게 이어오고 있는 복흥 시장은 순창...
전북 순창군
좌일5일시장
흥촌리에 있는 작은 5일장. 재래시장이 쇠퇴하면서 좌일5일시장도 ...
전남 해남군
생초시장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에 위치한 시장. 매달 3일, 8일마다 장이 ...
경남 산청군
남원인월시장
인월시장이 위치한 인월면은 사통오달의 교통중심지로 예로부터 전라도...
전북 남원시
주암시장
주암시장은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에 열리며 매월 3일과 8일에 장이...
전남 순천시
신흥시장
신흥시장은 매월 3, 8, 13, 18, 23, 28일에 장이 열...
경북 문경시
천관산관광시장
1961년 개설된 상가주택건물형의 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리 3...
전남 장흥군
문막시장
문막시장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100여전부터 우시장과...
강원 원주시
부산 중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 / 외국인이 가기 좋은 전통시장에 선정된 부평시장
중구 부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부평시장은 바로 국제시장의 ‘깡통시장’의 원래 이름이다. 수입 용품이 주를 이루며 반찬, 젓갈, 김치, 양념, 튀김 등도 판매한다. 비빔당면을 비롯해서 단팥죽, 족발, 호떡 등 먹거리도 볼거리도 풍부한 대형시장이다. 2005년 12월 5일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었으며 의류, 과일, 채소, 가정용품이 많이 있다. 오전 8시에 개점해서 오후 8시에 폐점하는데, 정확한 정기휴일은 알기 어렵다. 넓은 규모인 만큼 다양한 골목이 있다. 특히 수입 과자 골목이 유명한데, 국내에서 접하기 힘든 수입 과자 및 식재료, 술을 포함하여 여러 해외 잡화를 쉽게 구매할 수 있어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또 한 쪽 아케이드에는 어묵 골목이 이어져 다양한 모양과 맛의 어묵을 판매해 부산의 특산품인 '부산어묵'의 이름을 증명한다. 부평시장은 국제시장과도 바로 이어져 있어 다양한 물품 구매 및 쇼핑을 할 시 편리하며, 이런 접근성과 먹거리, 주변 관광지 연계까지 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는 요인이 되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